터칭 데이터
클라우드와 AWS 본문
클라우드
쉽게 말하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다른 업체가 이미 준비해둔 컴퓨터를 네트워크(인터넷 등)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의 키워드는 2가지가 있습니다.
"No Provisioning" 준비할 필요 없다.
"Pay As You Go"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라
덕분에 클라우드 클라이언트는 서버를 직접 구매 및 구축할 필요가 없고 트래픽량에 따른 컴퓨터 리소스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AWS
트래픽이 가장 치솟는 블랙 프라이데이, 사이버 먼데이 기준으로 구축한 서버가 평시에 놀게 두지 않고 필요한 개발자에게 임대 제공하기 시작했던 것이 시초입니다.
AWS는 Amazon Web Services의 약자로, 아마존닷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AWS는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IT 리소스를 온디맨드(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방식)로 제공합니다.
AWS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EC2 (Elastic Compute Cloud): 가상 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팅 파워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S3 (Simple Storage Service):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 운영, 확장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Lambda: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리스 컴퓨트 서비스입니다.
DynamoDB: 빠르고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모바일, 웹, 게임, IoT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AWS는 머신러닝, 인공지능, IoT, 보안, 분석, 블록체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백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결합하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shift SELECT (0) | 2023.11.14 |
---|---|
Redshift Cluster 생성 & Colab에 연결 (0) | 2023.11.14 |
Redshift: Scalable SQL 엔진 (0) | 2023.11.12 |
데이터 웨어하우스 (0) | 2023.11.12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0)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