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칭 데이터
Superset 설치 방법 - Docker란? 본문
Docker 이용 설치 vs. Preset.io에 있는 서비스 사용
Docker에 익숙하고 개인컴퓨터 사양이 충분히 좋다면 Docker가 더 좋음
- 이 경우는 Superset 오픈소스를 그대로 쓰는 형태
Preset.io는 무료 Starter 플랜이 있기는 하지만 회사 이메일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
- Superset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변경된 버전을 사용하는 형태. 하지만 오픈소스 버전과 크게 다르지 않음
두 가지 설정 방법을 일단 모두 설명
- Preset 셋업
- Docker Superset 셋업
- (세번째 방법은) 리눅스 서버에 설치하는 것
차트/대시보드 생성 방식은 Superset 기준으로 설명
Docker란 무엇인가?
아주 쉽게 얘기하면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컴퓨터의 가상환경에서 의존성이나 버전 충돌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MySQL을 다른 OS에서 설치하려면 다양한 변수가 존재
- 즉 설치 과정이 OS와 OS의 버전에 따라 달라지게 됨
- 다양한 다수의 다른 소프트웨어들의 설치가 동반되는 것이 일반적임
Docker는 특정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타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만듬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용을 도와주는 오픈소스 플랫폼
- 이 패키지를 먼저 파일 시스템 형태로 만드는데 이를 Docker Image라고 함
이 Image는 다른 이들과 공유가능
Docker Image 공유소를 Docker Registry(Docker Hub)라고 부름
- Docker Image를 실행시킨 것을 Docker Container라고 부르며 이 안에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됨
이 때 Docker Engine이 먼저 실행되어 있어야함
Docker Image
단순히 응용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모든 다른 환경까지 포함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Docker Registry에 가면 다양한 Docker Image들을 찾아볼 수 있음
Docker Container
Docker Image를 Docker Engine에서 실행한 것을 지칭
Docker Engine만 실행하면 그 위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을 충돌없이 실행 가능
각 Docker Container는 개별의 가상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perset - Docker 설치 (0) | 2023.12.01 |
---|---|
Superset - Preset 셋업 (0) | 2023.12.01 |
Superset - 만들어 볼 대시보드 소개 (0) | 2023.12.01 |
Superset (0) | 2023.12.01 |
다양한 시각화 툴 (0) | 2023.12.01 |